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대인지각과 귀인-4

반응형

3.귀인의 편향성 
(1)귀인 과정의 두 단계
①단계1
㉠행위자가 행동을 하게 된 원인을 그 사람에게서 찾는다. 즉, 내적 귀인을 짓는다.
㉡그런 후 그 사람이 처했던 상황을 고려함으로써 앞에서 지은 내적 귀인을 조정한다.
㉢대부분의 경우 단계2에서 벌어지는 조정을 충분히 하지 않는다.
㉣단계2를 건너 뛰어버림으로써 극단적인 내적 귀인을 짓기도 한다.
②단계2
판단을 내리기 전에 생각을 천천히 조심스럽게 하고, 최대한 정확한 판단을 내려야겠다고 마음을 먹고, 표적 인물의 행동에 의심을 가질 때 이루어진다. 
③귀인의 단계1은 신속하고 저절로 전개되는 데 반해 단계2는 정신적 노력을 많이 요구한다. 

(2)귀인의 주요 편향
①기본(근본) 귀인 오류 
㉠사람들의 행동에 작용하는 상황적 요인의 역할은 과소평가하면서 내적ㆍ기질성 요인의 영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성을 기본 귀인 오류라고 한다.
㉡성향귀인 양상이 항상 잘못되었다는 의미가 아니라 상황의 힘을 당연히 고려해야 함에도 간과한다는 점에서 오류라고 하는 것이다.
㉢우리는 보통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설명하려 할 때 그 행동을 한 사람의 성격특성 및 신념에서 그 원인을 찾으려는 강한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기본 귀인 오류를 범하는 한 가지 이유는 우리가 다른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려 할 때 우리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그 사람이지 그 사람이 처한 상황이 아니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우리는 다른 사람의 행동에 작용하는 상황의 힘을 볼 수가 없다.
㉤사람은 지각적 돌충성을 가지기 때문에 우리의 주의는 그 사람에게 집중되고 그 사람이 행한 행동의 원인을 그 사람한테서 찾으려고 한다. 

②행위자-관찰자 편향
어떤 행위에서 그 행위를 한 당사자는 상황귀인(=외적 귀인)하고 그 행위를 본 관찰자는 성향귀인(내적 귀인)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몇 가지 설명이 가능하다. 
㉠관찰자와 행위자는 지각적 초점이 다르기 때문임
관찰자의 입장에서는 초점이 행위자에 맞추어지고 행위자가 처한 상황은 배경이 되므로 행위자가 장면을 압도한다. 그러나 행위자의 초점은 외부상황에 맞추어지므로 상황적 정보가 중요하게 부각된다.
㉡행위자와 관찰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에 차이가 있기 때문임
행위자는 스스로에 대한 상황들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관찰자는 행위자가 처한 상황의 힘을 알지 못한다.
㉢동기의 차이가 원인이 되기도 함
관찰자들이 행위자와 교류가 예상될 때 상대방에 대하여 알고 싶어 하므로 상황귀인을 하는 경향이 생긴다. 
㉣이중관점모형
행위자와 관찰자는 각자에게 이득이 되는 방향에서 사건을 해석하는 해석하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행위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에게 득이 되는 것에 관심이 있으므로 자기행위를 능력차원에서 설명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관찰자의 입장에서는 상대방이 자신에게 해를 끼치거나 자신을 이용할지에 대한 정보에 민감하여 도덕성 차원에서 설명하는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행위자는 행동의 의도보다는 목표가 달성되었는지를 중시하지만 관찰자는 수행보다는 의도를 더욱 중시한다.
③자기본위적 편향(이기적 귀인)
자기가 한 일이 잘되었을 경우 사람은 내적 귀인을 하고 결과가 좋지 않을 때에는 외적 귀인을 한다는 것이다. 이 편향은 개인의 행위뿐 아니라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가깝게 여기는 집단(자신이 응원하는 스포츠 팀에서도)의성패에 대해서도 나타난다. 이것을 내집단중심주의 또는 집단본위적 편향이라고 한다. 자기본위적 편향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사람은 자존심을 유지하고 싶어한다. 이 욕구는 사람들의 신념이나 생각을 바꾸는 일도 불사하게 한다. 성공과 실패는 개인 스스로에 대한 평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어떤 일을 실패하고 그것을 회복할 수 없다고 생각할 때 사람들은 이기적 귀인을 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좋게 생각해 주고 좋아해주기를 바란다. 따라서 우리의 수행이 좋지 못한 이유는 외적 요인 때문이라고 말함으로써 변명 만들기를 한다.
㉢사용 가능한 정보의 종류와 관련된 것이다. 예를 들어 시험을 망친 민호가 시험문제가 어려웠다고 외적 귀인을 하지만 교수님은 다른 학생들이 모두 시험을 잘 본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시험 문제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민호가 공부를 하지 않은 것이라고 내적 귀인을 한다는 것이다. 
④방어귀인
행동을 설명할 때 취약성이나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방향으로 몰고가는 방식을 일컫는다. 나쁜일은 못난 사람이나 바보 같은 실수를 할 때 일어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나는 바보 같지도 않고 행동을 함부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런 믿음을 '공정한 세상 가설'이라고 한다. 이러한 귀인은 '피해자 꾸짖기'라고 알려진 귀인과 맥락을 같이 한다. 강간을 당한 피해 여성을 두고 강간을 당할 짓을 했다고 믿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하는데 사고나 범죄는 자신과 같은 무고한 사람들에게도 언제나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세상은 공평하다는 믿음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의 안전에 관한 불감증을 떨쳐버리지 못한다.
⑤편파맹점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이 귀인편파에 빠질 가능성이 더 크다고 생각하는 경향성을 말한다. 즉 자신이 하는 귀인의 편파는 잘 보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우리는 자신의 사고는 합리적이고 이치에 맞는다고 생각하고 자신이 그것을 입증할 증거도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그런 편파를 극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자신의 판단과정을 반성해 보고 결론을 점검하고 편파맹정이 숨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인지-1  (0) 2023.03.28
대인지각과 귀인-5  (0) 2023.02.05
대인지각과 귀인-3  (0) 2023.02.04
대인지각과 귀인-2  (0) 2023.01.22
대인지각과 귀인 -1  (0) 2023.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