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자기-4

반응형

(3) 지각된 자기통제 
①자기에너지
노력이 필요한 자기통제는 우리의 제한된, 남아있는 의지력을 고갈시킨다. 자기통제는 근육의 힘과 비슷하게 작용하여 사용 후에는 약해지고 휴식으로 보충하며 운동으로 강해진다.
자기의 에너지가 일시적으로 고갈될지라도 자기개념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어려운 과제가 주어졌을 때 스스로 열심히 일하고 성공적이라고 상상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실패자라고 상상하는 사람들보다 수행을 더 잘 한다. 자신의 계획을 성공적인 전략으로 세우고 싶다면 긍정적인 가능성을 마음속에 그려보자.
②자기효능감
스탠퍼드대학교의 심리학자 반두라는 긍정적인 사고의 힘인 자기효능감을 이론화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어려운 목표를 설정하고 견딜 수 있게 한다.
㉡성취란 유능함과 끈기를 합한 것인데, 자기효능감은 성취와 함께 커지게 된다.
㉢국내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우수하며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연구에서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우수하며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나와 비슷한 사람의 노력과 성공을 보는 것(모델링)과 성공경험을 쌓아가는 것이다. 또한 실패의 원인을 자신의 무능력함이 아니라 노력부족이나 잘못된 접근방식 탓으로 돌리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③통제감
㉠자신에게 벌어지는 상황들에서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느냐 못하느냐는 일의 성패뿐 아니라 안녕감과 자신에 대한 평가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우리가 얼마나 자신에 대한 통제감을 느끼는가는 좌절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는가와 관련이 있다. 자신을 피해자라고 여기며 실패를 외부의 탓으로 돌리는 학생은 노력과 좋은 습관, 자기훈련 등이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하는 것으로 학업수행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인다. 
④자기결정이론
㉠데시와 라이언은 여러 연구들을 바탕으로 자기결정이론을 제시하였다.
㉡이 이론은 인간을 자기실현과 성장을 위해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고 도전하는 것을 즐기며 그런 욕구를 지니고 있는 적극적인 존재로 본다.
㉢이 이론에서 사람은 유능감, 자율성, 관계성의 세 가지 기본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한다고 본다.
㉣사람은 내적 동기가 있을 때 실행력이 높아지며, 내적 동기는 자율성이 주어졌을 때 높아질 수 있다. 

(4) 자기지식
실제로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우리는 생각이 전개되는 과정은 의식하지 못하지만 그 결과는 인식한다. 우리는 우리의 행동이나 느낌을 유발한 진짜 원인을 찾기 위해 자신에 관한 많은 정보들(과거 활동이나 현재 생각 등)을 가지고 자신을 들여다보지만 올바른 답을 찾지 못할 때가 많다.
①행동예측 
사람들은 그들의 행동을 예측할 때 오류를 범한다. 이것을 계획오류라고 부르는데 행동예측에서 범하는 공통적인 오류는 과제를 완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과소평가한다는 것이다. 예로 시드니의 오페라 하우스는 완공하는 데 6년이 걸릴 것이라고 하였지만 16년이 걸려 완성되었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과거에 그 비슷한 과제를 수행하는 데 얼마의 시간이 필요했는지 생각할 때 실제로 걸린 시간보다 덜 걸렸다고 잘못 기억하기 때문이다.
②감정예측
감정예측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그들의 미래에 나타날 정서의 강도와 지속정도를 예측하는 것을 가장 어려워한다. 예를 들면 우리는 배가 부를 때 갓 구운 도넛이 얼마나 맛있을까르 과소 평가하고, 복권당첨이나 혹은 교통사고로 전신마비가 되는 것과 같은 극단적인 사건들을 겪을 때 사람들이 예상하는 것보다 장기적으로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덜하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충격편향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긍정적인 사건보다 부정적인 사건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우리는 예상했던 것보다 무능력, 소중한 사람과의 이별, 시험탈락, 실직 등 우리가 겪을 수 있는 많은 패배들에 생각보다 더 쉽게 적응한다.
③자신의 정서 이해
우리는 특정 시점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정서가 어떤 정서인지 어떻게 아는 것일까? 이 질문이 이상하게 들리는 이유는 우리가 생각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것이 느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우리의 정서가 무엇인지를 추론을 통해 깨닫는다. 즉 우리는 자신의 행동을 관찰한 후 왜 우리가 그런 식으로 행동하고 있는지 설명한다. 만약 화가 났다는 느낌을 갖게 되면 우리는 무엇 때문에 화가 나게 되었는지 알아내려 한다. 자신의 정서 상태에 대한 이해는 생리적 각성과 각성의 이유라는 두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먼저 생리적 각성(흥분, 떨림, 화남 등 우리가 느낌으로 알게 되는 내적 행동)을 경험해야 한다. 그리고 나면 우리는 그 각성이 야기된 적절한 이유를 찾아내야만 우리가 경험하는 정서가 어떤 정서인지 알게 된다. 그런데 생리적 각성상태의 정체는 그 자체만으로 파악하기가 힘들다. 왜 그런 각성상태가 들게 되었는지 추론해야 하고 그때 우리는 상황에 관한 정보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방금 달리기를 하고 집 앞에 도착해서 매력적인 이성과 부딪혔을 때 내 심장이 뛰고 있다면 그 이성에게 끌렸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되지만 이것을 달리기를 하고 왔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용어설명
-자기효능감:자신이 능력 있고 효과적이라는 느낌으로 자신의 능려고가 기술에 대한 믿음. 자신이 가치 있다고 느끼는 자존감(자긍심)과는 구별되므로 자기효능감이 높아도 자존감은 낮을 수 있음
-자기결정이론:개인들이 어떤 활동을 내재적인 이유와 외재적인 이유에 의해 참여하게 되었을 때 발생하는 결과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남을 바탕으로 수립한 이론
-유능감:잘하고자 하는 욕구
-자율성:외적인 이유에서가 아니라 스스로 하고자 하는 욕구
-관계성:다른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구
-내(재)적 동기:사랑의 욕구, 흥미, 호기심 등 내적이고 개인적인 요인들에서 유발된 동기를 가리키며 내적 동기가 강한 학습자는 어떤 지시나, 강제, 성취의 결과가 주는 보상이 없어도 스스로 하고자 하는 성향을 보임
-외(재)적 동기:칭찬이나 보상 혹은 벌과 같은 외부에서 오는 강화요인에 만족을 얻기 위한 동기로 외적 동기는 학습자의 내적인 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대체로 학습자 내부 동기를 감소시킬 수 있음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도-1  (0) 2023.01.01
자기-5  (0) 2023.01.01
자기-3  (0) 2022.12.31
자기-2  (0) 2022.12.29
자기-1  (0) 2022.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