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사회인지-2

반응형

(3) 정보의 파악 
①정보의 취합 
㉠자료를 취합하는 과정에서도 사전의 기대감에 영향을 받는다. 내가 가진 기대감에 일치하는 모습은 그것은 정보로 취합을 하고 기대감과 일치하지 않는 정보는 정보로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
㉡자기기대에 일치하는 정보는 잘 기억하고 그렇지 않은 정보는 망각하는 경향이 있다.
㉢두 사건 간의 관계에 대한 사전가설을 가지고 있다면 두 사건의 관계를 지나치게 연관된 것으로 여긴다. 농구선수에게 뜨거운 손 현상(Hot Hand Effect)이 작용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이전 슛이 다음 슛으로 연결된다는 믿음이다. 그러나 실제조사에 따르면 두 번째 슛의 성공률은 직전 슛이 성공했을 때나 실패했을 때나 비슷한 결과를 보여 뜨거운 손 현상은 단지 사람들의 믿음일 뿐이라는 것이다. 
㉣어던 사람의 능력을 판단할 때 우리는 여러 사건에서 그 사람의 성공적인 결과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는데 그 사람의 실패사건과 또한 성공사건의 타인의 성공률을 같이 파악해야 한다. 
㉤사람들은 관계가 없는 두 사건 간의 관계를 관계가 있는 것처럼 파악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을 착각적 상관(상관의 착각)이라고 부른다. 두 사건이 관계가 있으리라는 사전기대가 여기에서도 작용한다. 소수의 집단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위와 관련이 있다는 생각도 착각적 상관에 해당한다. 외국인 노동자의 범죄가 보도되면 내국인 범죄율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을 불량한 사람으로 보는 경향이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②통제감
㉠사람들은 전혀 무관한 두 사건이 우연히 발생했을 뿐인데 둘의 관계가 인과관계로 파악하는 양상을 보인다.
㉡사람들은 통제 불가능한 일에도 자신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스스로 번호를 선택해서 복권을 구입한 사람은 자동번호배정으로 구입한 사람보다 당첨에 대한 믿음이 더 크다. 이렇게 통제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신의 행위와 결과를 연결시키려는 통제감의 착각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사람들은 순전히 우연적인 사건일지라도 초기에 통제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면 나중에 통제가 안 될지라도 통제감의 착각을 버리기 어렵다.
㉢주어진 환경에 대하여 통제감을 잃게 되는 경우 사람들은 고통스러워하고 수행력은 떨어지며, 분노를 느끼고, 무력감과 우울증에 빠진다.
㉣특징 과제에 반복적으로 실패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그러한 과제에 처음 접한 사람들보다 쉽게 그 과제를 포기하려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것을 학습된 무기력이라고 한다. 이러한 사람들은 환경에 대한 통제감을 상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통제감의 착각은 논리적으로 불합리한 것이지만 개인의 적응과 동기에 필수적인 기능을 하는 긍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③판단의 자신감 
사람들은 남들보다 스스로가 자신의 정서, 행위의 이유를 더 잘 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의 판단에 대해 의심하지 않고 지나칠 정도로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행위의 원인이 뚜렷하거나 우리가 느끼는 직관과 같은 맥락일 때는 우리의 판단이 맞지만 행위의 원인이 불분명할 때 우리의 설명은 틀릴 가능성이 높다. 개인들의 고백이나 증언이 상당한 설득력을 보이지만 그것이 늘 신뢰로운 것은 아니다. 
④사람들은 스스로가 내린 결정에 지나치게 낙관적이다. 전문가와 비전문가로 구성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Bender-Gestalt 검사지의 겨로가를 가지고 뇌손상 진달을 하게 했을 때 정확성은 65~70%로 모두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잘못 판단한 경우나 바르게 판단한 경우 모두 판단에 대한 확신은 차이가 없었다. 사람들은 자신의 가설을 부정하는 정보가 아닌 지지해 주는 정보를 찾고 그러한 증거가 누적되면 더 많은 지지적인 정보가 확보되었다고 여김으로써 자신감을 더하게 된다.
⑤자신감과 정확성은 상관이 적다. 법정에서 증인들이 확신을 갖고 하는 증언도 그들의 확신도와 증언의 정확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3.도식을 활용한 사고 
(1) 도식(스키마)의 기능
①도식(스키마)이란 사회적 세계에 관한 우리의 지각경험을 조직하는 정신적 구조를 말한다. 도식에는 특정인, 사회의 역할, 자신의 파악, 고정관념, 잘 알려진 사건, 지식에 관한 것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러한 도식은 사람들이 상황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며 자동적 사고는 도식을 이용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이 지식을 이용하여 사회적 세계에 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조직화하고 새로운 상황을 해석한다.
②도식은 회상을 용이하도록 돕는다. 도식과 부합하는 정보뿐 아니라 도식과 모순되는 정보까지도 회상을 용이하게 한다. 단 도식과 무관한 정보는 회상이 잘 되지 않는다.
③도식에 부합하는 정보는 처리가 빠른 반면 도식에 부합하지 않는 정보는 처리가 느리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전문지식이 포함된 도식의 경우는 많은 정보의 처리를 요하기 때문에 정보처리를 더디게 한다.
④도식과 관련된 정보의 처리는 거의 자동적으로 우리어지므로 암묵적 성격이론(내현적 성격이론)에 근거하여 보이지 않은 면에 대하여도 자동처리가 나타난다.
⑤도식은 소유자가 느끼는 정서를 포함하고 있어 대상자극들의 처리 시 정서적 느낌도 수반한다. 내가 '김영수'라는 이름의 사람에게 매우 부정적인 느낌을 갖고 있는데 만일 내가 내일 소개받을 사람의 이름이 '김영수'라고 한다면 그 사람에 대한 감정이 부정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⑥도식이 중요한 이유는 새로운 경험을 과거 도식과 관련짓는 능력 때문이다. 우리가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그러한 경우에 어떤 일이 어떻게 전개 되는지 파악하고 대처하게 해 줄 수 있는 것이 도식이다. 사람들은 상황이나 상대방에 대해 가진 정보가 모호할수록 도식을 기초로 판단을 내리게 된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인지-3  (0) 2023.03.28
사회인지-1  (0) 2023.03.28
대인지각과 귀인-5  (0) 2023.02.05
대인지각과 귀인-4  (0) 2023.02.05
대인지각과 귀인-3  (0) 2023.02.04